아파도 울지 않던 비글들아, 이제 켄넬 밖으로 나오렴
페이지 정보
pike관련링크
본문
아파도 울지 않던 비글들아, 이제 켄넬 밖으로 나오렴[애니멀피플] 실험비글 29마리 새 보금자리 찾던 날 동물실험 마치고 보호소로 이관..국내 최대규모 구조 조용하던 개들, 켄넬 문 열자 30분만에 '비글미' 되찾아 실험 비글도 비글은 비글이었다. 케이지의 문이 열리자 실험견은 냄새를 맡기 시작했다. 편평한 바닥이 낯선지 케이지 안에서 몇 번이고 발을 넣었다 뺏다를 반복하다 드디어 밖으로 발을 내딛었다. 나무 바닥의 냄새를 꼼꼼히 훑더니, 바로 옆 케이지 다른 비글에게 다가가 코 인사를 나눴다. 조심스레 살랑이던 꼬리가 ‘친구’를 만나자 점점 더 빠르고 경쾌하게 움직였다. 30개월 견생 첫 외출이었다. 20일 충남 논산시 ‘비글구조네트워크 논산쉼터’에 동물실험에 동원됐던 29마리의 비글견들이 도착했다. 이날 구조는 국내 한 연구기관에서 실험에 사용했던 개들을 동물단체 비글구조네트워크(이하 비구협)에 이관하기로 결정하면서 이뤄졌다. 실험동물 구조로는 국내 최대 규모다. _______ 그나마 운 좋은 29마리 지난달 24일 비구협은 처음 이 소식을 알리며, 한달이 넘는 기간 동안 해당 연구기관과 긴밀한 협의를 진행한 결과 최종 기증서를 작성하게 됐다고 밝혔다. 비구협은 “국내에서만 한 해 동물실험으로 희생되는 비글만 1500여 마리”라며 “그 중 0.2%에 해당하는 이 29마리는 극히 운이 좋은 녀석들”이라고 밝힌 바 있다. 잘 알려진대로 비글은 대표적인 실험동물 중 하나다. 활동적이고 호기심 많은 성격으로 반려인들 사이에서는 ‘악마견’이란 애칭으로도 불리지만, 실험용으로 생산되는 비글들의 사정은 다르다. 실험비글들은 태어날 때부터 비글 특유의 습성을 억누르는 훈련을 받는다. 생후 2~3개월부터 연구에 적합한 비글로 키우기 위해 사회화를 시키는데, 연구원이 손을 대도 움직이지 않는 훈련이나, 아파도 소리를 지르지 않는 인내심 특화 프로그램을 훈련한다. 오로지 과학적 시료로 키워진 개들은 실험이 끝나면 모두 안락사 된다. ‘운 좋은 녀석들’은 생각보다 더 조용했다. 오후 1시 반, 실험견들을 실은 트럭이 쉼터 앞 마당에 도착했다. 이날 도착한 실험견들은 모두 30개월령의 수컷이었다. 개가 29마리나 타고 있었지만 짖는 녀석은 단 한 마리도 없었다. “무서울 텐데 소리도 하나 안 내는 게 (일반 개들과) 다른 점이죠. 아무래도 실험견들이다 보니 조금 조심하고 수동적인 것 같아요. 발바닥도 모두 퍼져있고….” 정부윤 비구협 실험동물분과장은 실험견들이 철창에서 오래 생활해 발가락 사이가 넓게 벌어져 있다고 있다고 설명했다. 본격적인 이사가 시작됐다. 트럭에서 내려진 케이지는 모두 보호소 내 ‘데크 운동장’으로 옮겨졌다. 순식간에 100여 평 규모의 운동장 한쪽에 실험견 켄넬 29개가 일렬로 놓여졌다. 비글들은 잔뜩 겁 먹은 표정으로 침을 흘리면서도 얌전하게 켄넬 안에 앉아서 바깥을 살피고 있었다. 이곳에서 개들에게 물을 급여하고, 개체 파악을 한 뒤 방 배정에 들어간다고 유영재 비구협 대표는 설명했다. _______ 냄새 맡고, 달리고, 안기고…30개월 만의 자유 갇혀만 살았던 실험견이 과연 켄넬 밖으로 나올 수 있을까? 10여 명의 비구협 활동가들과 취재진이 늘어선 켄넬 앞에서 숨을 죽였다. 오후 2시 유영재 대표가 한 켄넬의 문을 열었다. 개는 어리둥절한지 아무 소리도 내지 않고 가만히 앉아서 유 대표를 바라봤다. 철제문을 완전히 제거하고 기다린 지, 30여초. 개가 스스로 나오길 기다렸지만 녀석은 쉽사리 밖으로 발을 내지 못했다. 잠시 뒤 다른 켄넬의 문이 열렸다. 이전 녀석보다 좀더 호기심이 많아 보였다. 열린 철제문 주변의 냄새를 꼼꼼히 맡더니, 두어 번 발을 꺼내 바닥을 밟아 보고는 켄넬 밖으로 빠져나왔다. 운동장에 나온 비글은 옆 켄넬의 다른 비글들에게 다가가 인사를 나누기 시작했다. “한 실험실에서 지냈더라도 각자 케이지에 있었기 때문에 대면하는 것은 처음일 것”이라고 유 대표가 설명했다. 세 번째로 열린 켄넬의 비글도 마찬가지였다. 나오자 마자, 먼저 나온 친구에게 다가가 코 인사를 나누고 서로 엉덩이 냄새를 맡느라 정신이 없었다. 두 녀석은 꼬리를 프로펠러처럼 쉴새없이 흔들며 운동장을 누비기 시작했다. 밖으로 나간 모습이 부러운지 켄넬을 문을 박박 긁은 녀석도 나타났다. 마침내 모든 켄넬의 문이 열리고, 한 꺼번에 20여 마리의 비글들이 운동장으로 쏟아져 나왔다. 개들은 순식간에 본능을 되찾은 듯 보였다. 구석구석을 누비며 냄새를 맡고, 운동장 이끝에서 저끝으로 달리기 시작했다. 그동안 ‘사람 손 탈’ 일이 없어 낯선 사람을 두려워할 거라는 걱정과는 달리, 서스럼없이 사람들에게 다가왔다. 비글들은 서로 먼저 쓰다듬어 달라고 머리를 들이밀었다. “아니, 이렇게 사람이 좋았어? 생각보다 너무 착하고 순해요.” 활동가들도 놀란 눈치였다. 같은 실험견이라고는 해도 개체마다 성격은 제각각이었다. 비글 20마리가 켄넬을 빠져나와 10여 분간 운동장을 누비던 중에도 아직 켄넬 밖으로 나오지 못한 개 4마리가 있었다. 활동가들은 겁 먹은 녀석들을 앞에 자리를 잡고 천천히 밖으로 발을 뺄 수 있도록 돕고 있었다. 유영재 대표는 실험견이 어떤 환경에서 지냈는지에 따라 사회화 기간이 달라진다고 했다. “연구원과 교감이 있었던 동물은 티가 납니다. 접촉이 많았던 아이들은 보통 6개월 정도 걸리는 사회화가 3개월만에 끝나기도 하죠.” _______ ‘사회화’ 시작은 강아지 본성 찾는 것 2015년 실험동물 구조를 위해 설립된 비구협에는 실험동물을 다시 사회화하는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었다. 실험종료 뒤 불가피하게 안락사 당하는 동물들에게 반려동물로서의 가정에서 제2의 견생을 누릴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이번에 구조된 실험비글들은 일단 한 방에 5~10마리씩 합사된다. 같은 실험실에서 구조됐더라도 개들은 각자의 케이지에서 지냈기 때문에 서로를 잘 모르고 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일주일 정도 사람과의 접촉을 늘리며 개들끼리의 사회화가 끝나면, 먼저 입소한 실험견들이 있는 ‘실험견 견사’로 이동하게 된다. 이같은 과정이 순차적으로 잘 이뤄진 개체들의 경우는 다른 유기 비글들과 함께 지낼 수 있는 야외견사 등으로 가게 된다. 입양 전 마지막 단계는 가정 임시보호다. 한 달간 가정에서 지내면 개들의 단점과 장점을 파악하고, 배변 훈련 등을 가르친다. “사실 근데 사회화가 특별한 게 아니예요.” 유 대표는 사회화를 ‘강아지의 본성을 찾는 것’이라고 표현했다. “실험비글 4마리가 있는 곳에 유기비글 1마리를 합시시켜요. 발랄한 비글 한 마리가 들어가면 풀 죽어 있던 실험비글도 덩달아 밝아져요. 잠자고 있던 강아지 본성을 깨우는 거죠.” 강아지가 짖고 싸우기 시작하면 그때는 사회화가 완성됐다고 본다. 짖고 싸우는 것은 평생 본성을 억누르며 배운 적 없던 ‘소유욕’이 생긴 증거로 보기 때문이다. 30여 분 100평 운동장을 종횡무진 뛰어다니던 비글들이 활동가의 품에 안겨 한 마리씩 새 견사로 이동했다. 비글들은 몹시 산만해 보였다. 새 공간을 탐색도 해야하고, 틈틈이 사람들 입에 입도 맞추고, 귀여움도 받아야 하고, 서로 서열을 확인하기 위해 마운팅(흔히 교미자세를 일컫지만 개들끼리 서열을 확인하기 위한 행위로 보기도 한다)도 해야해서 쉴새없이 움직였다. 이렇게 정신없이 바쁜 비글들도 사람이 몸에 손을 대면 일순간에 움직임을 멈췄다. 실험견으로 길러진 탓이었다. 개들의 귀 안쪽에는 실험체임을 표시하는 숫자가 선명하게 찍혀있었다. 실험비글 전문구조 단체인 미국의 비글프리덤네트워크는 비글이 실험동물로 자주 이용되는 이유를 ‘비글이 인간의 훌륭한 동반자가 되는 것과 같은 이유’ 때문이라고 말한다. 비글은 유순하고, 사람을 잘 따르고, 굉장히 낙천적이다. 때문에 오늘 자신에게 주사바늘을 꽂았던 연구원이 내일 다시 찾아와도 반갑다며 꼬리를 흔든다는 것이다. _______ “개들은 가족을 찾으러 온 게 아닐까” 올해 모두 네차례 실험비글을 구조했던 비구협은 이제 실험동물에 대한 인식이 조금씩 바뀌고 있다고 평가했다. 유영재 대표는 “이제는 동물실험기관도 동물실험을 했더라도 실험이 종료된 뒤 동물의 미래에 대해 조금씩 고민을 하는 것 같다. 사회적 부담을 함께하겠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지는 아주 희망적인 부분”이라고 말했다. 이름 없는 개들의 목에 개체번호가 적힌 목줄이 하나씩 채워졌다. 오후 내내 활동하는 모습으로 파악한 성향에 따라 ‘룸메이트’가 정해졌다. 벌써 포근한 새 방석이 좋은지, 한 자리를 차지하고 올라간 녀석들도 눈에 띄었다. 유 대표는 실험비글 29마리가 더이상 숫자가 아닌 한 생명으로 살기 위해 이곳에 왔다고 말했다. “어쩌면 개들은 자유를 찾아 온 것이 아니라 가족을 찾아왔다는 표현이 맞을 겁니다. 인간을 위해 태어나고 고통받았던 개들에게 이제 우리가 보상할 시간이 아닐까요?” 논산/김지숙 기자 |
작성일2020-04-21 21:42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